항공정비학

헬리콥터의 비행 상태 - 정지 비행, 수직비행

보거슨 2024. 6. 15. 17:00

-정지 비행

 

공중에서 정지비행 시 헬리콥터는 보통 지면 위에 선택 지점 위에서 정위치를 유지합니다. 하늘에서 멈춰 떠 있기 위한 헬리콥터에서 회전날개장치에 의해 발생된 양력과 추력은 수직 위쪽으로 작용하고 수직 아래쪽으로 작용하는 무게와 항력이 같아야 합니다. 공중정지하는 동안에 주 회전날개 추력은 공중정지 고도를 유지하기 위해 변화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콜렉티브 피치를 움직여서 회전날개깃의 입사각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습니다. 받음각을 변경하는 것은 회전날개의 항력을 변경하고 엔진에 의한 동력은 일정한 회전날개속도를 유지하도록 변경해야 합니다.

 

1. 평행 이동 or 편류 경향

 

공중정지비행일 때 단일 주 회전날개 헬리콥터는 편류하려는 경향이 있거나 꼬리회전날개의 추력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편류 경향은 평행 이동 경향이라고 불립니다. 편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 회전날개장치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2. 지면효과

 

지면 근처에서 공중정지비행일 때 지면효과로 알려진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 효과로 보통 표면과 표면 위쪽으로 거의 1개의 회전날개직경 사이의 높이게서 일어납니다. 지면의 마찰은 회전날개에서 날개가 밑으로 밀어젖히는 공기로 인해 헬리콥터로부터 바깥쪽방향으로 이동하게 합니다. 회전날개 디스크를 통한 유도 공기흐름이 표면마찰에 의해 감소되었을 때 양력백터는 증가합니다. 유도항력을 줄여 동일한 양력에 대해 더 낮은 회전날개각도를 허용합니다.

 

3. 코리올리 효과

 

코리올리 효과는 각운동량 보존 법칙으로 적용됩니다. 회전체의 각운동량의 값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변하지 않습니다. 회전 세는 어떤 외력이 회전의 속도를 변경하도록 가해 졌을 때까지 동일한 회전속도로 돌아가는 것을 지속합니다. 관성모멘트는 질량 x 회전의 중심에서 거리로서 각가속도와 각감속도로 알려진 각속도에서 변화는 회전체의 질량이 회전의 축에 더 가깝게 이동하려 할 때 혹은 더 멀리 떨어지려 할 때 일어납니다.

 

-수직 비행

 

공중정지비행은 실제로 수직비행의 요소입니다. 일정한 회전속도를 유지하는 동안 회전날개개의 받음각을 증가시키면 투가적인 양력을 발생시켜 헬리콥터가 상승합니다. 반대로 피치를 감소시키며 헬리콥터는 하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