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A25는 수많은 부분이 있지만 비행기 작동 시스템에 속하지 않는 조종실 구성, 승객실 구성, 카고 구성, 비상장비에 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조종실 구성
항공기의 중추기관이 되는 부분이고 기계와 인간의 접촉 부분입니다. 최근 항공기에는 조종 시스템이 많고 복잡하기 때문에 조종실내의 조종패널과 좌석은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조종패널에는 항법장치, 자동조종장치, 통신장치, 엔진시동장치, 방빙 및 제빙장치, 연료계통, 유압계통, 전기계통, 공기조절 여압게통, APU 등이 있습니다. 조종실에는 기장 좌석, 부기장 좌석, 관제 좌석이 바닥 트랙에 장착되어 있습니다. 조종사 좌석에는 전후, 좌우, 상하, 리클라인의 조작을 기계적 정기적으로 할 수 있고 허리 및 어깨를 잡아주는 벨트가 있습니다.
-객실 구성
객실은 조종실은 제외한 동체의 전 길이를 차지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조리실, 화장실, 옷장등은 승객실 구성에 장착되어 있는 중요한 장비와 설비들입니다.
1. 좌석
객실용 좌석에는 승객용, 라운지용, 승무원용이 있습니다. 객실용 좌석은 바닥에 설치된 트랙에 고정되고 간격을 정할 수 있습니다. 골격은 알루미늄 합금제로 가볍고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또한 좌석의 커버도 내화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2. 좌석 구성
좌석의 배치는 안정성, 쾌적성, 경제성 등을 고려해서 일등석은 10~15%, 이코노미석은 85~90%로 배치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3. 안감과 단열
객실내부 전체는 패널과 INSULATION BLANKET에 의해 열과 소음으로부터 차단됩니다.
4. PSS, PSU
PSS는 승객의 조명과 승무원을 부를 때 부르는 콜을 말합니다. 승객은 각자 좌석 팔걸이에 장착되어 있는 조종판의 버튼을 조작할 수 있습니다. PSU는 비행 중 승객이 사용할 수 있는 장치로 리딩 라이트, 승무원 호출 라이트, 비상 산소마스크, 에어 아웃렛등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5. 주방
승객에게 식사나 음식물을 제공하기 위한 기내장치입니다. 단거리를 가는 경우는 간단한 음료와 과자 정도가 제공되기에 주방도 비교적 소형입니다. 주방에는 육류를 재가열해서 익히는 오븐, 물수건용 오븐, 커피 메이커, 식수대, 냉장고, 음료 보온용 컨테이너 등 전력을 사용하는 기능 부품이 설비되어 있고 그 외에 식사나 음식물을 수용하는 컨테이너를 필요에 따라 교환하게 됩니다.
6. 화장실
항공기내 화장실을 설치하는 경우 좌석 수를 고려해서 적절한 수와 배치가 이루어집니다. 장거리는 30~40석, 중거리는 40~50석, 단거리는 50~60석 당 하나의 비율로 화장실을 설치하고 특정 위치에 화장실이 집중하지 않게 고려되어 있습니다.
-카고 구성
포워드와 애프터 카고는 객실바닥 밑에 위치하고 있고 ULD에 로딩과 언로딩을 위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카고 핸들링 시스템이 있습니다. 각 카고는 동체 우측에 장착되어 있는 도어를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1.ULD
카고 컨테이너의 폭은 화물실 전체의 폭과 비슷하며 대형의 화물을 적재하는 데 사용됩니다.
2. 카고 이동 시스템
볼 트렌스퍼 패널은 카고 도어 베이바닥과 컨테이너의 마찰저항을 최소로 해서 화물의 가로방향과 길이방향의 이동을 용이하게 해 줍니다.
롤러 트랙은 길이방향의 이동만 요구되는 장소에 롤러 트레이의 열을 평행으로 장착해서 컨테이너 바닥과 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합니다.
PDU는 전기모터와 기어박스로 구성되어 있고 화물을 이동시키는 힘을 발생시킵니다.
3. 가이드, 라쳇
화물을 선택한 위치로 잘 이동하게 유도해 주고 해당 위치에 고정시켜 줍니다.
4. 카고 핸들링 컨트롤 패널
카고 도어 근처에 컨트롤 패널이 있습니다. 그라운드 파워가 있는 상태에서 카고 도어가 오픈이 되면 패널이 작동될 수 있습니다.
-비상 장비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승개과 승무원이 무사히 탈출하고 구출되는 것을 돕기 위한 장비품입니다. 긴급 불시착시 탈출을 돕는 비상 탈출 슬라이드, 루프, 도끼, 휴대용 확성기등이 있고 수면 위에 불시착하는 경우를 대비해서 구명보트, 구명조끼, 전파발신장치, 발화신호장치, 구급약품등이 기내에 탑재되어 있습니다.
1. DESCENT DEVICE
조종실 부근에 격리된 곳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 장비는 조종사들이 비상 탈출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탈출하지 못할 때 비상으로 탈출하는 설비입니다.
2. 비상 탈출 슬라이드
긴급으로 불시착했을 때 승객과 승무원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기체 밖으로 탈출시키기 위한 장치입니다. 현대의 대형 여객기에서는 탑승문이 그대로 비상문으로 되고 여기에 탈출 슬라이드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이 슬라이드는 90초 이내에 전원이 탈출 가능하게 하고 비상구를 열면 동시에 고압의 질소 가스에 의해 10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팽창해서 슬라이드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3. 비상 신호 장치
표류 중 자신의 위치를 알려주는 것으로 백색광탄, 적색광탄, 무선표식이 장비되어 있습니다. 무선표식은 보통 비닐커버로 포장되어 있는 데 커버를 떼어내 해수를 띄우면 자동적으로 주파수를 전파합니다.
4. 생명 안전장치
개인용 구명조끼는 의자 밑에 한 개씩 장착되어 있고 냉장되어 있는 압축공기 혹은 입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팽창시킬 수 있습니다.
구명보트는 수면에 긴급 불시착 했을 때 압축가스로 팽창시켜 탑승자를 수용하고 표류하기 위한 장비입니다. 여기에는 비상용 식량, 바닷물을 담수로 만드는 장치, 약품, 비상신호장비 등이 내장되어 있고 강우나 직사광선을 피하기 위한 천장도 부착되어 있습니다.
5. 구급약품
긴급 불시착시 사용하는 약품이니 응급치료용으로 작은 금속제 트렁크에 들어있습니다.
6. 비상등
야간에 불시작시 기내 안과 밖을 밝혀주는 비상용 조명입니다. 비상전원에 의해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초고 10분 이상 들어올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항공정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ATA21 - 기내환경 (장비 쿨링 시스템,카고 컴파트먼트 히팅, 여압 시스템) (0) | 2024.06.25 |
---|---|
ATA 21 - 기내환경 (ACS) (0) | 2024.06.24 |
항공기 기체의 구성 폼 - 윙의 형식, 도어 및 창문 (0) | 2024.06.22 |
항공기 기체의 구성 폼 - 동체의 구조, 날개의 구조 (0) | 2024.06.20 |
항공기 기체의 구성 - 구조일반, 위치표시, 구조 형식 (0) | 2024.06.19 |